뉴스경산

경제학 몇개의 질문.. 경제를 이제 배우기 시작한 학생입니다제가 궁금한 건요..왜 해외 수출이 총지출에

2025. 3. 18. 오후 3:01:02

경제학 몇개의 질문.. 경제를 이제 배우기 시작한 학생입니다제가 궁금한 건요..왜 해외 수출이 총지출에

경제를 이제 배우기 시작한 학생입니다제가 궁금한 건요..왜 해외 수출이 총지출에 들어가는지??해외에 수출하면 우리나라는 돈을 버는거 아닌가요? 그럼 오히려 소득아닌가여??총’지출‘의 범위가 외국까지 포함인건가요?그리고 이렇게 된다면 왜총소득에는 해외를 포함시키지 않나요?총소득은 가계소득+정부가 걷는 세금+기업소득(죄송해요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정확한지는 모르겠어요)이잖아요,총지출 구할땐 해외의 지출을 넣는데, 왜 총소득 구할때는 해외는 없는건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해외 수출이 총지출에 포함되는 이유와 총소득과의 관계를 단계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총지출(GDP)의 구성 요소

  • 총지출(GDP)은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총 지출을 의미합니다.

  • 공식:

  • GDP=C (소비)+I (투자)+G (정부 지출)+NX (순수출: 수출 - 수입)

  • GDP=C(소비)+I(투자)+G(정부 지출)+NX(순수출: 수출 - 수입)

  • **수출(Exports)**은 외국인이 우리나라 제품을 구매하는 지출이므로 GDP에 포함됩니다.

  • "국내 생산품에 대한 지출이므로, 누가 지출했는지(국내/해외)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2. 수출이 '소득'이 아니라 '지출'로 분류되는 이유

  • 수출로 벌어들인 외화는 단순히 **수입(Income)**이 아니라, 국내 생산품에 대한 해외의 지출입니다.

  • 예: 한국 자동차를 미국인이 구매 → 미국인의 지출이지만, 한국 GDP의 일부로 집계됩니다.

  • 이때 발생한 소득(예: 근로자의 임금, 기업의 이익)은 총소득 측면에서 이미 반영됩니다.

  • "수출은 지출(GDP)로, 이로 인해 발생한 소득은 총소득(Y)으로 이어집니다."

3. 총소득과 총지출의 관계

  • **총소득(Y)**은 국내에서 생산 활동을 통해 창출된 소득의 합입니다.

  • Y=임금+이자+지대+기업 이윤+간접세 - 보조금

  • Y=임금+이자+지대+기업 이윤+간접세 - 보조금

  • 수출로 인한 소득은 이미 총소득에 포함됩니다.

  • 예: 수출로 기업이 100억 원을 벌면 → 기업 이윤(총소득) 100억 원 증가.

  • **총지출(GDP)**과 **총소득(Y)**은 동일한 값을 가집니다.

  • "GDP를 지출 측면에서 보면 총지출, 소득 측면에서 보면 총소득입니다."

4. "해외"가 총소득에 포함되지 않는 이유

  • 총소득은 국내 생산 요소가 벌어들인 소득만을 집계합니다.

  • 예: 외국인 투자자의 이익은 **국내 총소득(Y)**에 포함되지 않습니다(GDP와 GNP 차이).

  • 반면, 총지출은 국내 생산품에 대한 모든 지출(국내 + 해외)을 포함합니다.

  • "총소득은 '국내에서 벌어들인 소득', 총지출은 '국내 생산품에 대한 지출'입니다."

5. 핵심 요약

  • 수출이 총지출에 포함되는 이유:

  • 외국인의 국내 생산품 구매는 국내 경제 활동의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 수출로 인한 소득은 총소득에 이미 반영됨:

  • → 수출로 창출된 기업 이익, 임금 등이 총소득(Y)의 구성 요소입니다.

  • 총지출과 총소득은 사실상 같은 값:

  • → 단지 측정 방식이 다를 뿐입니다(지출 vs. 소득).

❗ 헷갈리기 쉬운 부분

  • "수출로 번 돈 = 소득"이라는 직관은 맞지만,

  • 이는 **이미 총소득(Y)**에 포함되고,

  • 총지출(GDP)에서는 외국인의 지출로 분류됩니다.

  • 즉, 동전의 양면처럼 GDP를 지출과 소득 두 가지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입니다.

이해가 되셨기를 바랍니다! 경제학은 처음에 개념이 추상적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 사례를 떠올리며 단계별로 접근하면 명확해집니다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